청년들의 고립•은둔 생활은 사회적 이슈 중 하나입니다. "고립 은둔 청년"이란, 사회적인 관계망에서 떨어져 혼자서 살아가는 청년을 의미합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가족과의 관계가 불안정하거나 적극적으로 유지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사회적으로 격리된 지역에 거주하거나, 신체적, 정신적으로 취약한 상황에 처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상황에 처한 청년들은 심리적인 고통과 불안, 경제적인 어려움 등 다양한 문제를 겪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들에게는 정서적인 지원뿐 아니라 경제적인 지원도 필요할 수 있습니다.
고립 및 은둔청년 지원 사업이란 고립은둔 상황에 처해있는 청년들이 삶의 활력과 동기를 얻어, 사회로 안전하게 복귀할 수 있도록 심리상담 및 맞춤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바로가기🔽

신청 전 자가체크 바로가기🔽


지원대상
- 서울 거주 만 19~39세 고립은둔청년 및 가족
고립과 은둔의 기준은 무엇인가요?
1. 고립청년은 다음의 2가지 기준을 모두 충족한 자로 정의
1) 현재 정서적 또는 물리적 고립 상태에 놓인 자, 다음의 조건 중 1가지 이상 해당하는 경우
- 정서적 고립 : 아래 4가지 상황에서 도움을 구할 수 있는 사람이 전혀 없음
ㆍ 중요하거나 어려운 일이 있을 때 조언을 구할 수 있는 사람
ㆍ 급한 일이 있을 때, 부탁할 수 있는 사람
ㆍ 개인적으로 돈을 빌려야 할 때, 부탁할 수 있는 사람
ㆍ 낙심하거나 우울할 때 속마음을 털어놓을 수 있는 사람
- 물리적 고립 : 아래의 가족/친척 외 사람들과 대면교류가 1년에 한두 번 이하 또는 전혀 없음
ㆍ 친한 친구나 친한 사람과의 대면교류
ㆍ 이외 직장, 학교, 동네에서 알고 지내는 사람들과 대면교류(업무상 교류 제외)
2) 고립 상태가 최소 6개월 이상 유지
2. 은둔청년은 다음 3가지 기준을 모두 충족한 자로 정의
1) 현재 외출이 거의 없으며 본인의 방 또는 집 안에서만 생활하는 자, 다음의 4가지 사항 중 하나에 해당
2) 은둔 상태가 최소 6개월 이상 유지
- 보통은 집에 있지만, 자신의 취미생활을 위해 외출함
- 보통은 집에 있지만, 인근 편의점 등에는 외출함
- 자기 방에서 나오지만, 집 밖으로는 나가지 않음
- 자기 방에서 거의 나오지 않음
3) 지난 1주일간 경제활동이 없었고, 1개월 이내에 구직활동 및 학업을 전혀 하지 않았음
지원내용
- 어떤 서비스가 있나요?
- 고립ㆍ은둔청년 맞춤상담 및 마음건강 정책 연계 지원
- 정서건강/관계건강 프로그램, 활동형 프로그램(예술, 운동, 취미, 원예 등)
- 진로탐색/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 일 경험 프로그램
- 공동생활 프로그램(소규모 인원), 부모지원 프로그램 등
문의전화
- 수행기관 ☎02-6953-2520
바로가기
FAQ 고립ㆍ은둔청년 지원 복지 지원 금융복지 청년몽땅정보통 (seoul.go.kr)
FAQ 고립ㆍ은둔청년 지원 복지 지원 금융복지 청년몽땅정보통
청년몽땅정보통,FAQ
youth.seoul.go.kr
자료출처 : 청년몽땅정보통 (seoul.go.kr)
청년몽땅정보통
청년몽땅정보통,Home, 청년정책 종합 안내 , 청년 이사비 지원, 청년수당, 청년대중교통비 등 청년지원사업 신청 접수
youth.seoul.go.kr
'생활의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반려동물을 위한 건강과 행복을 위한 올바른 관리법 (0) | 2023.05.09 |
|---|---|
| 2023년 구인·구직 고민 해소, 고용복지+센터 기업·구직자 도약보장 패키지 운영 (0) | 2023.04.28 |
| 알아두면 꼭 도움이 되는 전화번호 2( 아동, 청소년, 여성, 노인, 장애인, 질병 및 중독, 가 (0) | 2023.04.26 |
| 알아두면 꼭 도움이 되는 전화번호 1 (긴급신고, 생활정보, 민원신고) (0) | 2023.04.26 |
| 청소년 신체 활동 늘었지만 금연 및 음주와 식생활은 개선이 필요 (0) | 2023.04.24 |
댓글